본문 바로가기
건강

변비 원인을 알고 변비 해결하자

by זיגבךיםמש 2023. 2. 16.

감기만큼이나 흔한 증상인 변비!

변비 원인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변비가 생기면 흔히 약국에서 파는 변비약부터 찾게 되는데 변비원인에 따라 치료법도 다르고 정확한 진단 없이 복용하는 변비약은 증상악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변비원인에 따른 종류와 변비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변비증상 자가 체크

 

1) 일주일에 2번 이하로 변을 보는가

2) 변이 단단한가

3) 대변을 보고 잔변감이 있는가

4) 변을 볼 때 과도하게 힘을 주어야 하는가

5) 변을 볼 때 뭔가가 막는듯한 느낌이 있는가

 

위의 1) ~ 5)중에서 2가지 이상이면 스스로 변비를 의심해 볼 것!

 

2. 변비의 다양한 원인

 

1) 장기능의 저하

2) 환경적 원인으로 인한 배변습관의 변화

3) 변기에 오래 머무는 등 잘못된 배변습관

4) 여성의 분만으로 인한 직장 점막 손상

5)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신경자극으로 위장관 활동 저하

6) 불규칙한 식습관과 운동 부족

7) 특발성 변비원인으로 대장 무력증과 자극성 하제 과다복용

 

3. 변비 원인에 따른 종류

 

변비 종류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1) 기질성 변비

대장암, 게실염, 허혈성 대장염, 장축염전증 등 대장이 구조적으로 막혀서 생기는 변비로 근본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해야 한다. 방치했을 경우 원인 질환까지 악화된다.

 

2) 기능성 변비

① 이완성 변비 (=서행성 변비)

    - 대장이 괄약근을 수축해 대변을 배출해야 하는데 장관 기능 저하로 인하여 장내에 대변이 오래 머물면서 변의 수분이 장으로 흡수되어 대변이 딱딱해져서 생긴다.

   - 며칠 동안 화장실을 못 가다가 많은 양의 변을 보기도 한다.

   - 통증은 거의 없지만 복부 팽창감을 느낄 수 있다.

   - 먹는 양이 적거나 섬유질이 부족한 경우와 대장의 노화, 대장운동기능 저하가 주원인이다.

② 폐쇄성 변비 (= 배출 장애형 변비)

    경련성 변비

        - 스트레스등으로 자율신경이 긴장해 장 경련을 일으키며 배에 가스가 차고 쉽게 나오지 않는다.

        - 주로 젊은 여성들에게 많으며 복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직장형 변비

        - 변이 잘 내려오다가 직장에 걸려서 더 이상 나오지 않는 경우로 괄약근의 이완이 잘 안 되거나 변의를 억제하는 나쁜 배변습관으로 인해 생긴다.

        - 화장실에서 힘만 주다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4. 변비해결법

 

1) 이완성 변비

① 대장을 자극해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장 기능을 개선하는 약제나 대변에 수분량을 증가시킨 약제로 효과를 볼 수 있다.

② 규칙적인 운동과 물 섭취를 늘린다.

③ 식물성 섬유소가 풍부한 과일, 채소도 도움이 된다.

 

2) 경련성 변비

① 변비약이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② 스트레스로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③ 장운동, 자율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술이나 커피, 맵고 짠 음식을 되도록 피한다.

④ 장의 자극을 줄여줄 수 있는 익힌 채소와 흰밥이 도움이 된다.

 

3) 직장형 변비

① 항문에 압력을 측정하는 전기센서를 달고 배변 훈련을 하여 변비를 치료하는 방법인 바이오피드백 치료가 도움이 된다.

② 바이오피드백 치료법을 이용해서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변비약의 종류

 

1) 팽창성 하제

① 장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도록 만들어 변의 부피를 키워서 밀어내는 약

② 물복용이 중요!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

③ 차전자피가 대표적인 성분

④ 부작용과 의존성이 적어 안전

ex) 아기오, 뮤타실, 실콘정, 아락실

 

2) 삼투성 하제

수분을 끌어당겨서 부피와 수분을 늘려 변을 무르게 하는 변비약으로 인체에 흡수되지 않아 부작용이 적다

① 마그네슘 제제

ex) 마그밀, 마그오 캡슐

     - 제산제 효과도 있다.

     - 경련성변비환자나 신속하게 치료를 원할경우 권장.

② 비흡수성 다당류 하제

ex) 듀파락 이지시럽, 포탈락산

    - 단맛이 나고 안전해 영유아 변비환자에게 권장

    - 당뇨환자에게도 안전한 편

    - 장내균들이 당을 대사 해서 이산화탄소를 만들기 때문에 방귀, 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③ 폴리에틸렌글리콜

ex) 폴락스, 마크로겔

    - 장내 세균에 의해 대사 되지 않아 당류 하제와 달리 가스발생이 덜하다.

    - 장기간 복용해야 하거나 처음 변비약을 시도하는 환자에게 권장

3) 자극성 하제

① 대장의 근육신경층을 직접 자극해서 배변을 유도하는 약

② 복통이 나타날 수 있어 경련성 변비환자에게는 비추

③ 장기간 복용금지

④ 임산부 복용금지

⑤ 다른 변비약이 모두 효과가 없을 때 마지막으로 시도한다.

 

※ 설사가 발생할 경우에는 복용량 조절이 필요하고 한 가지 약제에 효과가 없을 때에는 용량증량보다는 다른 기전의 약제를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변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말고 잘 관리하자!

아침식사 후 배변하는 습관 갖기, 일어나자마자 물 마시기,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하기, 꾸준히 유산균 먹기 등의 작은 실천으로 변비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합시다

댓글